수영장의 수영_데이터 분석 블로그

[GA4] 7일차_7장 1~3 (GA4의 기본 특징, 태깅, 이벤트) 본문

Study/Google Analytics

[GA4] 7일차_7장 1~3 (GA4의 기본 특징, 태깅, 이벤트)

슈빔멘 2023. 5. 23. 19:09

* 자료 출처 : 모두의 구글 애널리틱스4

* 무료 E-Book 링크 : https://thebook.io/080308/


7장. GA4 본격적으로 다루기

GA4의 등장 배경 이유는 크게 2가지가 있다. 1) 웹 만큼 앱 사용자의 중요성이 커졌기 때문. 2)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담긴 쿠키를 더이상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졌음.

 


7-1. GA4의 특징

1) 이벤트 중심으로 변화

기존에는 세션 중심으로 데이터를 측정했다면, GA4에서는 기본적으로 이벤트가 데이터 수집의 중심이 된다.

즉, 사용자의 모든 활동은 이벤트로 정리될 수 있다.

 

2) 웹/앱 통합 분석

하나의 속성 안에 앱과 웹 데이터가 한꺼번에 수집된다. 이런 수집 방식을 '데이터 스트림'이라 통칭함. ex) 안드로이드 앱에서 데이터를 받으면 '안드로이드 데이터 스트림'

 

3) 단순화

보고서 개수가 110개에서 30여개로 줄었다. 개수가 줄어든 대신 '탐색 분석', 'GA4 라이브러리' 기능을 통해 자유도가 높은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4) 빅쿼리

- GA4의 UI 화면에서는 최대 14개월 전의 데이터까지만 조회할 수 있다. 과거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보존하려면 '빅쿼리'로 - 데이터를 연동하면 된다. 

- 빅쿼리를 사용하면 사용자를 식별할 때 아이디, 쿠키 뿐만 아니라 '구글 시그널'을 활용하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한 사용자 구분이 가능하다.

- 앱 마케팅, 머신러닝 기능 강화 등 추가적인 서비스가 있음

 

 


7-2. 태깅

태깅은 데이터를 수집해서 구글 애널리틱스로 보내는 꼬리표 기능을 한다. 즉, 데이터를 어떤 분류로 수집할 지, 어떤 형태로 GA에 저장할지에 대해 기획하여 태깅해야하는 것이다.

 


7-3. 이벤트

GA4는 이벤트가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징적인 변화로는 기존의 페이지뷰(PV) 또한 이벤트로 통합되었으며(웹은 page_view, 앱은 screen_view 지표), 앱과 웹 두 경로 모두에서 수집되어 GA4로 온다. 또, 속성 당 최대 이벤트는 500개까지 생성할 수 있다.

 

그림 : https://thebook.io/080308/0212/

[이벤트 예시]

이벤트는 분석가가 정의하는 바에 따라 굉장히 다양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가입하기/로그인/로그아웃/탈퇴 등의 회원 행동, 홈 클릭/상품 클릭 등 클릭 행동, 검색이나 스크롤 등도 이벤트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림 : https://thebook.io/080308/0214/

 

[세션 변화]

- 기존의 UA와 비교했을 때 GA4에서는 세션 범위가 사라졌다. 이전엔 '세션'이 핵심이었다면 이제 '사용자/이벤트'가 핵심이 되었다.

- 참여 세션 수(Engagement Sessions)라는 주요 지표가 생겼다.

조건은 1) 10초간 머무르기, 2) 전환 이벤트 1회 이상 발생, 3) 조회 수 2회 이상 일 때 집계된다.

 

1) 이벤트의 구조

이벤트는 '이벤트 이름 > 매개변수 > 변수 값'의 구조를 지닌다.

그림 : https://thebook.io/080308/0216/

① 이벤트 이름 : 이벤트를 부르는 명칭. GA4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이름도 있고, 수동으로 생성해서 만들 수도 있다. page_view는 GA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이벤트이다.

② 매개변수(Parameter) : 이 이벤트와 관련한 데이터 이름을 담는 변수. 예를 들어 '조회수' 이벤트라면 조회수가 발생한 페이지 위치, 페이지의 이름 등을 수집하기로 정의할 수 있다.

③ 변수 값 : 매개변수에 담기는 실제 데이터 값.

 

2) 이벤트의 종류

이벤트 종류는 'GA4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것', '분석가가 수동으로 만드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를 '자동 이벤트', 후자를 '수동 이벤트'로 부른다.

https://thebook.io/080308/0218/

 

① 자동 이벤트

그림 : https://thebook.io/080308/0221/

 - 자동 수집 이벤트 : GA가 미리 정의하고, 자동으로 발동되는 이벤트 ex) first_visit, page_view, scroll

 - 향상된 측정 이벤트 : '향상된 측정' 옵션을 적용하면 추가적으로 7개의 이벤트가 더 수집됨

 

+) 자동으로 수집되는 매개변수(Parameter)는 다음과 같다. page_title(페이지 이름), page_location(페이지 위치), page_referrer(이벤트 발생 전 페이지 위치), language(사용자 언어)

 

② 수동 이벤트

 - 추천 이벤트 : 분석가가 정의하지만, GA에서 사전 정의된 이름, 매개변수를 사용하는 이벤트. ex) view_item, add_to_cart 등

 - 맞춤 이벤트 : 분석가가 직접 조건을 설정해 발동하게 하는 이벤트. GTM을 활용하거나 GA4를 활용해 만들 수 있다.

 

+) GA4를 활용하여 맞춤 이벤트 생성하기

그림 : https://thebook.io/080308/0229/

1) [관리(Admin) - 속성(Property) - 이벤트(Events)] 메뉴로 접속

2) '이벤트 만들기' 클릭 후 발동 조건 입력

 - 발동 조건은 매개변수, 연산자, 값으로 구성된다

 - 여러 개의 조건을 달 수 있다.

그림 : https://thebook.io/080308/0230/

3) 완성된 이벤트는 이벤트(Events) 페이지에서 한 번에 조회/관리할 수 있다.

(page_view_everybody_for_sql 이벤트 : 웹 사이트에서 웹 페이지 제목이 ‘모두의 SQL’인 경우 발동하는 이벤트)

 

그림 : https://thebook.io/080308/0230/

4) GA4의 속성에서 [보고서(Reports) - 참여(Engagement) - 이벤트(Events)] 메뉴로 들어가면 설정한 맞춤 이벤트의 데이터 수집 현황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