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인턴일기
- 파워비아이
- 오블완
- LSTM
- pl-300
- ga4
- data
- microsoft power bi
- POWER BI
- 티스토리챌린지
- pl300
- 태블로
- GA4챌린지
- 신입일기
- RNN
- microsoft pl-300
- 데이터분석
- 길벗출판사
- PowerBI
- gru
- 모두의구글애널리틱스4
- 태블로기초
- 구글애널리틱스
- 태블로입문
- 파워BI
- NLP
- Today
- Total
수영장의 수영_데이터 분석 블로그
[GA4] 3일차_3장 (구글 애널리틱스의 주요 개념) 본문
3장. 구글 애널리틱스의 주요 개념
용어와 메뉴 설명이 많이 나오는 단원이었다. 정리해두지 않으면 금방 잊기 때문에 조금 상세히 적을 예정.
3-1. 계정, 속성, 보기
계정이 가장 상위 개념이며, 그 아래로 '속성 및 앱', 그 다음으로 '보기'라는 하위관계로 생각할 수 있다.
- 계정(Analytics Accounts)
: 어카운트라고도 부르며, 사용자 한 명이 여러 개의 계정을 만들 수 있다. 나는 연습을 위해 'Demo Account', 실습을 위해 '모두의 GA' 계정 등을 만들었다.
- 속성 및 앱 (Properties & App)
: 하나의 계정에 딸려오는 개념으로 '데이터가 실제로 저장되는 공간'으로 이해한다. 즉 데이터베이스라고 볼 수 있는 것 -> 이렇게 생각하면 같은 사이트(Google Merc)에 대해서 UA와 GA4가 따로 있는 것도 이해가 된다.
- 보기 (View)
: 속성의 데이터 중 분석가가 미리 커스텀한 데이터를 정리해 보여주는 단위. 다음 3가지 종류의 보기를 만들면 편하다.
1) Master View : 마스터 뷰, 실제 GA 운영 분석에 사용하는 보기 창
2) Test View : 테스트 뷰, 비교 및 테스트를 위해 사용하는 보기 창
3) Raw Data View : 로우 데이터 뷰, 수집되는 원천 데이터를 터치하지 않고 그대로 보기 창
3-2. 사용자, 세션, 이벤트 (GA 분석을 기본 요소)
1) 분석가가 보기(View) 페이지에서 보는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웹/앱의 로그 데이터이다. 이 로그 데이터의 양을 트래픽이라 부르고, 데이터를 세는 단위를 세션이라 부른다. 이 개념을 알고 들어가면 사용자-세션-이벤트의 이해가 쉽다.
2) 사용자 > 세션 > 이벤트로 포함 관계가 성립된다.
- 사용자(user)
: PC, 스마트폰 등 기기에 대해 '쿠키를 기반으로 한 클라이언트 ID'를 부여하고, 이 ID 각각을 사용자로 식별한다. 꼭 쿠키 ID가 아니더라도 유저 ID, 구글 시그널 등 사용자를 식별하는 단위를 지정할 수도 있다.
- 세션(session)
: 사용자의 웹 사이트 접속 단위. 자정이 지나거나 30분 동안 아무 동작이 없으면 세션이 초기화된다.
- 이벤트(event)
: 사용자가 웹 페이지에서 하는 행동을 측정하는 것. 스크롤, 버튼 클릭, 재생 등이 있다.
[UA에서 이벤트의 분류]
① 카테고리 - 행동에 대한 분류 ex) 버튼
② 액션 - 행동 ex) 클릭
③ 라벨 : 행동에 대한 정보 ex) TV
+) 페이지뷰(pageview)
: 사용자가 방문한 페이지 수. GA4부터는 페이지뷰 또한 이벤트로 인식한다. => 사용자의 모든 상호작용/행동을 이벤트 단위로 수집하는 것.
3-3. 측정기준(Dimension)과 측정항목(Metric)
- 측정기준 : 분석을 위해 나누는 기준
- 측정항목 : 이에 대한 수치 항목
학생 구분 | 키 | 몸무게 | 발 크기 |
초등학생 | 120 | 30 | 190 |
중학생 | 150 | 40 | 220 |
고등학생 | 160 | 50 | 230 |
여기서 측정기준은 1열, 즉 초/중/고 부분의 구분을 의미한다.
여기서 측정항목은 2,3,4열, 즉 수치를 담고 있는 부분을 의미한다.
1) 측정기준 (Dimension)
: GA에서 제공하는 디멘션은 여러가지가 있고, 대표적으로 유입원천을 구분하는 소스(source)와 유입방법을 구분하는 매체(medium)이 있다. 특정 단어 유무로 구분하는 키워드(keyword)도 있고, 기타 토글로 다른 측정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 소스(source) : 구글, 네이버, 다음 ...
- 매체(medium) : cpc, cpm ...
+) 보조 측정기준 : 측정기준 & 보조 측정기준으로 생각하면 된다. 복수의 기준을 단위로 구분해서 데이터를 측정하는 것. 3개 이상 기준을 적용하려면 '맞춤 보고서'를 사용할 것.
2) 측정항목 (Metric)
: 구체적인 수치 데이터로 사용자, 신규 방문자, 세션이 가장 기본 구성.
3-4. 콘텐츠 그룹
웹 사이트엔 여러 페이지가 있다. 이 페이지들을 성격에 맞게 묶을 수 있는데, 이를 콘텐츠 그룹이라 칭한다. UA에서는 최대 5개, GA4에서는 1개 그룹을 생성할 수 있음.
ex) 컬리 사이트에서 마켓컬리-뷰티컬리를 나눠서 그룹으로 묶는 것.
[ 설정 - 보기 - 콘텐츠 분류 ] : 콘텐츠 그룹 생성
[ 보기 - 행동 - 사이트 콘텐츠 - 모든 페이지 - 콘텐츠 그룹 분류 ] : 콘텐츠 그룹 별로 보기
자료 출처 : 모두의 구글 애널리틱스4
'Study > Google Analy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4] 6일차_6장 (UA 보고서로 분석해보기) (0) | 2023.05.22 |
---|---|
[GA4] 5일차_5장 (구글 애널리틱스 다루는 법 익히기) (3) | 2023.05.19 |
[GA4] 4일차_4장 (분석 환경 설정하기) (0) | 2023.05.18 |
[GA4] 2일차_1장, 2장 (구글 애널리틱스 알아보기, 준비하기) (0) | 2023.05.15 |
[GA4] 1일차_북킷 3주 구글 애널리틱스 챌린지 시작 (0) | 2023.05.09 |